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가공식품 영양성분 표시제도, 꼭 알아야 할 4가지 핵심 정보

건강정보

by 헬윗 2025. 4. 24. 19:40

본문

반응형

식품영양표시 이해로 건강한 소비 시작하기

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우리가 매일 접하는 가공식품의 영양성분 표시제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그러나 아직도 많은 소비자들이 이 제도의 의미나 기준을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식품을 구매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.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이러한 제도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자료를 제공하고 있는데요, 오늘은 이를 바탕으로 영양성분 표시제도의 핵심 내용활용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
가공식품 영양성분 표시제도, 꼭 알아야 할 4가지 핵심 정보
가공식품 영양성분 표시제도, 꼭 알아야 할 4가지 핵심 정보


1. 영양성분 표시제도란?

영양성분 표시제도는 가공식품에 포함된 영양성분의 정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표시하고 이를 관리하는 제도입니다. 소비자가 식품의 영양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이지요. 

이 제도는 영양성분 표시와 영영성분 강조 표시 등 두 가지로 나뉩니다.

 

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영양성분 표시: 제품에 함유된 영양성분의 양을 수치로 표시합니다. (예: 칼슘 300mg)
  • 영양성분 강조 표시: 특정 성분이 낮거나 없다는 점을 강조합니다. 예: "무지방 우유", "저나트륨 스낵" 등

영양성분 표시제도란?
영양성분 표시제도란? 사진출처: 식품의약품안전처 x계정

 


2. '0'으로 표시 가능한 기준은?

소비자 입장에서는 종종 ‘제로’, ‘무’ 등의 문구를 접하게 됩니다. 하지만 실제로는 소량 포함되어 있어도 일정 기준 이하라면 ‘0’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.

영양성분 단위 '0' 표시 기준
열량 kcal 5kcal 미만
나트륨 mg 5mg 미만
당류, 탄수화물 g 0.5g 미만
지방, 포화지방 g 0.5g 미만
콜레스테롤 mg 2mg 미만

이 기준을 알고 있으면 "제로"나 "무첨가" 등의 문구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.

'0'으로 표시 가능한 기준은?
'0'으로 표시 가능한 기준은?


3. 영양성분이 아예 없는 경우는?

특정 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성분 항목 자체를 생략하거나, "없음", 혹은 "-"로 표시합니다. 예를 들어, 탄수화물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경우, 해당 항목은 라벨에서 생략되거나 "없음"으로 기재될 수 있습니다.


4. 영양성분표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

식품 구매 시 영양성분표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다음 사항을 체크하세요:

① 1회 제공량 vs 총 제공량

  • 한 번에 섭취하는 양(1회 제공량)과 전체 제품을 기준으로 한 총 제공량을 비교해 실제 섭취할 양의 영양소 총량을 확인하세요.

영양성분표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
영양성분표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

② %영양소기준치

  • 하루 필요량 대비 몇 %인지 확인해 영양성분이 과다하거나 부족한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.

③ 만성질환 여부 확인

  • 당뇨병, 비만이 있다면 열량, 당류, 포화지방을 주의깊게 살펴야 합니다.

④ 고혈압, 심혈관 질환이 있다면

  • 트랜스지방, 포화지방, 콜레스테롤 항목을 꼼꼼히 확인하고 섭취를 조절해야 합니다.

영양성분표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
영양성분표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, 사진 출처: 식품의약품안전처 x계정


마무리하며

영양성분 표시제도는 단순한 수치 정보가 아니라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기본 가이드입니다. 특히 당뇨, 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있는 분들께는 식품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이 꼭 필요합니다.

앞으로는 제품을 고를 때 포장지 뒷면의 영양성분표를 꼭 확인해보는 습관, 함께 길러보는 건 어떨까요?

관련글 더보기